우수신진연구자 세션 3
일시: 6월 24일(목) 16:30-18:00
장소: 그랜드볼룸 1 (Zoom Room 1)
조영근 (인하대학교 전기공학과 조교수)
 
2013.02 인하대학교 전기공학과 학사
2015.02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과 석사
2020.02 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 (로보틱스) 박사
2020.08 한국과학기술원 응용과학연구소 연구원
2021.08 영남대학교 로봇공학과 조교수
2021.09~현재 인하대학교 전기공학과 조교수

발표주제: 필드 환경에서 로봇의 장기적 자율주행을 위한 강인한 SLAM 기술
 
최근 로봇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도심 환경뿐만 아니라 건설/산업현장 등 다양한 환경에서 로봇의 도입 및 운용이 본격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광조건/계절 변화 등 학습된 환경을 벗어나는 상황이나 여러 동적 물체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발생하는 인식률의 저하는 로봇의 장기적 자율주행을 방해하는 큰 요소이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필드 환경에서의 장기적 자율주행을 위한 강인한 센싱 및 인지 기술 (Robust Sensing and Perception)과 이를 활용한 동시적 위치인식 및 맵핑 (SLAM: Simu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문성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조교수)
 
2005년 전남대 컴퓨터정보학부 졸업 (학사)
2007년 광주과학기술원 졸업 (석사)
2021년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졸업 (박사)
2007년 ~ 2010년 국방과학연구소 연구원
2010년 ~ 2011년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연구원
2012년 ~ 2022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
2022년 ~ 현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조교수

발표주제: 효과적인 비행 형상 변환 기술을 활용한 군집 비행 시스템 소개
 
평창 올림픽 이후 군집 비행 기술을 활용한 드론 쇼는 기술과 문화의 융합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 주었다. 군집 비행을 위해서는 다수 드론과 안정적인 통신, 정확한 위치 인식, 그리고 충돌없이 최단 형상 변환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형상 변환 기술은 드론 쇼의 핵심 기술로써 제한된 비행 시간 안에 최대한 많은 형상을 표현하기 위해 형상 변경 시 할당 문제로 최적화를 수행한다. 본 발표에서는 군집 비행 기술 시스템과 헝가리안 알고리즘 기반의 비행 형상 변환 기술을 소개한다.
김의환 (광주과학기술원 AI대학원 조교수)
 
2013.02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전자공학 학사
2015.02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전자공학 석사
2020.02 광주과학기술원 전기전자공학 박사
2021.10~현재 광주과학기술원

발표주제: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지능형 시스템을 위한 인공지능
 
인공지능, 로보틱스, 통신기술의 발달은 4차산업 혁명 시대를 거치며 인류의 생활 방식을 크게 바꿀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기술 발전을 바탕으로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지능형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한 실제적인 기법들을 크게 세 분야에 걸쳐 소개한다: i) 효과적인 텍스트 메시지 입력을 위한 인간로봇상호작용(Human robot interaction; HRI), ii) 물리적/의미적 환경 이해를 위한 컴퓨터 비전, iii) 서비스 로봇을 위한 학습 알고리즘.
홍주현 (국방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2013 인하대학교 항공우주공학 석사
2017 인하대학교 항공우주공학 박사
2017-2020 Cranfield University (UK) Research Fellow
2020- 현재 국방과학연구소

발표주제: 상용 다수 이종 무인이동체를 이용한 감시정찰 시스템 개발
 
다수이종(Heterogeneous swam) 무인이동체로 구성된 시스템은 각각 다른 특성을 지닌 무인이동체들이 자율적으로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미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다수이종 무인이동체 시스템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한 예로써 무인 감시정찰 시스템을 상용 (commercial off the shelf) 무인이동체를 이용하여 시스템 설계 및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소개한다.
박대형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부 조교수)
 
2006.03 Osaka University 시스템과학과 학사
2008.05 Univ. of Southern California Computer Science 석사
2018.05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Robotics 박사
2020.08~현재 한국과학기술원

발표주제: 인간중심 로보틱스 – How to bridge the gap between humans and robots?
 
인간중심 로보틱스는 다양한 환경에서 사람을 도와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보조/협력/동료 로봇을 개발하는 학문이다. 하지만, 사람과 로봇 사이의 다양한 간극은 로봇이 효과적으로 사람의 명령을 이해하고 수행하기 어렵게 한다. 본 발표에서는 로봇의 인식체계를 분석하고 지식의 습득을 통한 월드 모델의 생성을 통해 간극의 최소화하는 다양한 방법론을 논한다. 특히, 지식 기반의 자연어 명령 이해, 기술 학습, 계획 등의 요소 기술을 통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협력이 가능한 로봇 동료를 개발 가능함을 보인다.

제어·로봇·시스템학회 사무국
(06349) 서울특별시 강남구 밤고개로1길 10 (수서동, 수서현대벤처빌) 723호
Tel: 02-6949-5801(내선3) | Fax: 02-6949-5807 | E-mail: conference@icros.org